경북_첨단 안전서비스 개발에 국비 15억 원 확보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관리자 | 등록일 | 2023.08.03 | 조회수 | 497 |
- 복지시설․다중이용시설 이용자 위치 3D 실내지도 표시 긴급구조 활용 - -침수, 지진 등 재해 위험지역 예측서비스 개발 - 경북도가 국토교통부 디지털트윈 조기완성을 위한 챌린지 사업 공모에 참여해 국비 15억 원을 확보했다. 재난안전 분야로는 전국에서 유일하며 1:1,000 지도사업의 활용 영역을 ‘안전’분야까지 확장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. 경북도 안전정책과는 경산시, 구미시, 안동시 안전정책 관련 부서와 경일대학교 등 연구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‘재난안전 디지털트윈 안전서비스 실증을 위한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사업’을 계획했다. 도에서는 시군의 신청을 받아 3개 시와 협력해 총사업비 30억원(국비 15, 지방비 15)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한다. 경북도는 지방비 중 도비를 30% 지원하기로 했으며 7월초부터 경산, 구미, 안동시 안전부서 주무팀을 찾아가 사업취지에 대해 설명하고 합동 신청으로 공모에 참여했다. 이 사업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먼저, 3D 지도로 구축된 노인요양시설과 다중이용시설에 실내측위 기술을 활용해 시설 이용자의 피난특성(거동불가․가능) 및 현 위치를 입체적으로 구현한다. 시설 관리자는 평상시 시설 이용자가 계단이나 창문 등에 접근해 낙상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치매환자의 시설 이탈도 감지할 수 있어 실종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.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상황에서는 출동하는 119 구조대에 이용자 위치가 실시간으로 제공되어 구조지점 선택 등 긴급구조에 활용하고, 소방출동 차량에는 건물까지의 최적경로 내비게이션이 제공된다. 두 번째로는 재해 위험지역 예측 서비스다. 기 구축된 재난관리서비스와 상․하수 등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해 수치표고모델(DEM, Digital Elevation Model)을 구축하고, 지역에 특화된 ‘자연재난 위험지역 분석 시스템’을 지자체에 제공할 계획이다. 이영석 경북도 재난안전실장은 “안전 분야로는 전국 최초의 선정이라는 점에서 뜻깊게 생각하며, 향후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잘 만들겠다”며 사업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. |
|||||
첨부파일 |
|
||||
이전글 | 경북_호우 피해 복구에 한국도로공사 큰 .. | ||||
다음글 | 전남_광주-영암·목포 아우토반 사전타당.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