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로소식

  • 소통센터
  • 도로소식
디지털 트윈국토 표준화한다_건물·교통 등 데이터 연계한 국가표준 제정
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4.10.28 조회수 362
□ 국토교통부(장관 박상우)는 디지털 트윈국토* 데이터를 보다 쉽게 연결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16종의 새로운 국가표준을 마련해 10월 31일 고시한다.

   * 디지털 트윈국토 : 국토의 지능적 관리와 국민 삶의 맞춤형 문제 해결을 위하여 ①현실 세계를 디지털 세계로 모사하고, ②가상화 기술(AR/VR+GIS+ BIM+IoT+AI 등)로 연결한 ③국가 위치기반의 정보체계(솔루션 또는 플랫폼)

 ㅇ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은 실내공간, 지하공간, 지형모형, 교통 분야로  나뉘어 있으며, 각각의 데이터 모델과 품질, 메타데이터와 제품 사양을 포함하고 있다. 디지털 트윈국토에 대한 국가표준을 별도로 제정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.

□ 새로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이 적용되면 서로 다른 지역과 기관에서 만든 정보를 보다 쉽게 연동할 수 있고, 데이터들이 하나의 형식으로 저장·공유될 수 있어,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다양한 기관과 시스템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. 

 ㅇ 예를 들어, 인접한 지자체에서 각각 디지털 트윈국토를 만들어도 도시 간 교통량, 도시 열섬 현상, 바람길 등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해진다.

□ 국토교통부 박건수 국토정보정책관은 “정부는 이번 표준 제정으로 데이터의 통합과 상호 운용성을 높여 디지털 기반의 미래형 국토를 만들기 위한 기틀을 다질 것”이라면서, 

  ㅇ “디지털 트윈국토 표준화는 공간정보의 연계 활용을 위한 핵심인 만큼 앞으로도 필요한 표준을 지속적으로 발굴․개발해 나가겠다”라고 밝혔다. 
첨부파일
이전글 K-MaaS 앱(슈퍼무브) 하나로 철도 항공 PM 등..
다음글 기후변화 대응_취약 시설물 안전관리 강..